본문 바로가기

식이요법2

비만의 원인과 합병증 예방 방법 오늘은 전염병보다 위험한 질병인 비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합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으로 부르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는 사람의 체중 상태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체질량지수(BMI ; Body mass index) =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 = 체중(kg) ÷ (신장(m) x 신장(m)) 체질량 지수가 18.5 미만 : 저체중 18.5 이상 ~ 23.0 미만 : 정상 체중 23.0 이상 ~ 25.0 미만 : 과체중 25.0 이상 ~ 30.0 미만 : 비만 30.0 이상 : 고도비만 지방 조직의 주요 성분은 혈장으로부터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한 중성지방입니.. 2023. 8. 2.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오늘은 여름철 무더위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합니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 가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한 고혈압 학회와 미국 심장 학회에서 제시하는 혈압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 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 mmHg 미만 -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 mmHg 이.. 2023. 7. 31.